더꿈_이코노믹스

[오늘의 경제지표] 20230816 본문

경제지식을 적용하기/매일 경제지표 훑어보기

[오늘의 경제지표] 20230816

더꿈이코노믹스 2023. 8. 16. 17:01

0. 오늘 내가 알게된 사실

  • 중국발 경제위기로 전세계 증시가 흔들리고 있다. 올 초 중국이 코로나 봉쇄를 해제했을 때만 해도 세계 경제가 활기를 찾을 수 있을 것이라 전망했지만, 중국 최대 부동산 개발 업체 비구이위안이 회사채에 대한 이자, 우리돈으로 300억원을 채권자들에게 제때 지급하지 않으면서 부도 위기를 맞이했다. 적지 않은 돈이나 중국 정부가 '모범 회사' 거론해 왔던 업체가 올 상반기에만 우리 돈 10조원 정도의 손실을 보고 부도 위기에 놓였다. 
  • 비구이위안 뿐만 아니라 중국 여러 기업들이 디폴트 위기에 빠지면서, 중국발 '리먼 브라더스 사태'가 벌어지는 것 아닌가 우려가 있다. 중국의 대표적 부동산 신탁회사 중룽국제신탁이 자기들에게 맡긴 기업들에게 만기가 된 투자 상품의 돈을 돌려주지 못하고 있다고 하며, 총액이 64조원에 달한다는 이야기가 있다.
  • 중국 신탁업계는 은행에서 돈을 빌리기 쉽지 않은 기업들이나 투자자들에게 자금을 조달해 주고, 자기들도 공격적인 방식으로 돈을 버는데 국제 기준으로 봤을 때는 영업을 상당히 불투명하게 한다. 이를 '그림자 금융', '그림자 은행' 으로 부르는데 이를 중국 정부가 많이 정리해왔다고 하지만, 여전히 우리 돈으로 4천조 원 정도 규모의 업계가 존재한다고 한다. 부동산 위기가 이 '그림자 금융'쪽으로 위기가 번지고 결국 연쇄 파산이 발생할 수 있는 상황으로 보인다. 
  • 중국의 위기는 우리나라에도 큰 영향을 미친다. 외국계 투자은행은 우리나라가 내년까지 2년 연속으로 1%대의 저성장에 그칠 것이라는 전망을 내놓고 있다. 우리 정부와 국책기관 등에서는 이보다는 긍정적인 전망을 내놓았지만, 이는 중국의 회복에 따라 우리 수출도 늘어날 것이라는 기대 때문이었다. 하지만 중국의 생산, 소비 모두 시장 예상치에 못미쳤고, 물가는 오르기는 커녕 디플레이션에 빠지면서 경기 침체에 들어선 것 아니냐는 판단도 있다. 실제로 중국의 청년실업률이 최근 석 달동안 연속 사상 최고치를 기록하다가 아예 이달부터 청년실업률 발표를 중단하였다.
  • 중국 정부는 경기부양책을 내놓는다고 하였으나 뚜렷한 효과는 보이지 않고 있다. 중국 인민은행은 15일 금리를 인하를 단행하였고, 중국 돈과 같이 움직이곤 하는 우리 돈의 가치도 함께 떨어지며 환율이 달러당 1330원을 훌쩍 넘어 있는 상태이다. 중국 경제의 위태로움이 하반기 우리 경제 근처의 가장 큰 뇌관이 될 것으로 보인다. 

 

 

 

1. 국내증시

 

2. 해외증시

3. 시장지표